말씀으로 [2022.10.23]
중국 양(梁)나라 때의 승려였던 우(祐)가 편찬한 「홍명집」(弘明集)에 나오는 이야기 가운데 “대우탄금”(對牛彈琴)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 대(對)는 ‘대할 대’ 우(牛)는 ‘소 우’, 탄(彈)은 ‘퉁길
중국 양(梁)나라 때의 승려였던 우(祐)가 편찬한 「홍명집」(弘明集)에 나오는 이야기 가운데 “대우탄금”(對牛彈琴)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 대(對)는 ‘대할 대’ 우(牛)는 ‘소 우’, 탄(彈)은 ‘퉁길
까마귀 새끼가 자라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뜻의 “반포보은”(反哺報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자녀가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대해 보답하여 효를
전한(前漢)시대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편찬한 일종의 백과사전인 「회남자」(淮南子)에 “시간이 없어서 공부하지 못한다고 하는 사람은 시간이 있어도 공부하지 못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공부함에 있어 핑계를
지난 주 신학교 시절 함께 기도했던 목회자들의 모임에 참여했습니다. 40주년 기념감사예배로 모인 모임이었습니다. 오랜만에 선후배 목사님들과의 만남을 통해 세월이 참으로 많이 흘렀다는
농사를 짓는 분들의 공통적인 마음이 적절한 때에 비가 오고 햇빛이 비치는 것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가 내려야 할 때 내리지 않고
1989년 미국 뉴욕 맨하탄에서 리디머장로교회를 시작하여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팀 켈러(Timothy Keller)가 쓴 「COUNTERFEIT GODS」(두란노에서 ‘내가 만든 신’으로 번역)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추석 연휴 기간 중에 있습니다. 어제가 추석이었고 오늘과 내일까지 연휴로 보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4대 명절과 24절기가 있습니다. 4대 명절은
중국 남송(南宋) 시대의 주희(朱熹, 1130~1200년, 주자(朱子)라고도 함)는 주자학을 집대성한 인물입니다. 그는 「훈학재규」(訓學齋規)에서 독서삼도(讀書三到)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했습니다. 곧 “독서에는 삼도(三到)가 있는데, 그것은
병원을 가보면 언제나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물론 연세 드신 분들이 많이 오시지만 어떤 경우는 젊은이나 아이들이 병원에 있는 것을
정호승 시인의 산문집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곧 새들은 바람이 가장 강하게 부는 날 집을 짓는데, 이는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