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된 친구

「논어」(論語) 계씨(季氏)편 4장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공자왈 익자삼우, 손자삼우)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모 범

「논어」(論語) 자로(子路)편 13장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子曰 “苟正其身矣, 於從政乎, 何有?(자왈 구정기신의, 어종정호, 하유?) 不能正其身, 如正人何?”(불능정기신, 여정인하?) 이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자께서

성경을 읽음

지난 600여년간 많은 사람들에게 영적 영향력을 끼쳐 온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a Kempis, 1380~1471)의 「그리스도를 본받아」 가운데 “성경을 읽음”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유일한 소망 예수 그리스도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힌 책”, “세계 기독교 3대 고전”으로 유명한 토마스 아 켐피스(Thomas a Kempis, 1380~1471)의 「그리스도를 본받아」가 있습니다. 이 책은 원래

성령의 도우심으로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어록을 담아 기록해 놓은 「논어」(論語) “자한”(子罕)편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자왈 가여공학,

즐거워하는 삶

폭군 로마 황제 네로의 스승이었던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Lucius Annaeus Seneca, B.C 4년 ~ A.D 65년 4월)가 있습니다. 세네카는 로마 제국 시대의 정치인이며,

배움에 열심을 내십시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제 27번에 다음과 같은 공자의 말씀이 있습니다.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자왈 십실지읍, 필유충신여구자언, 불여구지호학야.) 이를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공자께서

후회함이 없는 삶

우리가 알고 있는 키루스(Cyrus, 성경에는 고레스로 나옴)의 비문에 다음과 같은 글귀가 있다고 합니다. 이보게, 자네가 누구이든 그리고 자네가 어디에서 왔건, 나는 자네가

최고의 기쁜 소식

강원도 영월군청에 근무하는 한상도 씨가 쓴 「사라진 암」 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2020년 5월 전립선암 선고를 받고 치유된 그의 이야기를 싣고 있습니다. 그는

학습과 훈련이 중요합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 크세노폰(Xenophon, B.C. 428~354년경)이 쓴  「소크라테스 회상록」에 소크라테스가 크리스토불로스에게 이야기하고 있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습니다. “크리스토불로스, 자네가 어떤 일에 훌륭해 보이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