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을 생각하면 됩니다

   시간이 참으로 빠르게 흘러간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렇게 덥던 여름이 지나 가을 분위기를 조금 느끼는가 싶었는데, 아침 저녁으로 추위를 느끼게 되는

가벼워야 합니다

   옛말에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빈손으로 와서 빈손으로 간다”는 말입니다. 곧 사람이 태어날 때 빈손으로 태어났다가 죽을 때에도 빈손으로 죽는다는 것입니다.

기도와 사랑의 열매를 생각하며

   무더위가 지나고 가을을 맞이하여 매일을 살아가면서 하나님의 은혜가 참으로 크시다는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오늘을 호흡하며 살아갈 수 있다는 자체가 은혜인 것입니다.

로마인과 야만인

  아담 이후 모든 인류는 그 후손이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노아 시대에 홍수 사건이 있고 난 후 노아의 세 아들에 의해 인류가 온

날마다 말씀으로

   기독교가 로마에서 국교로 공인되기 전 가장 중요한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 콘스탄티누스 대제(재위 A.D.306-337)입니다. 그는 밀라노 칙령(A.D.313년)을 통해 박해 하에 있던

지정학(地政學)

   우리에게 「손자병법」(孫子兵法)으로 유명한 손무(孫武)는 지형(地形)의 종류를 통형(通形, 사통팔달 지형), 괘형(掛形, 나아갈 수는 있지만 후퇴하기는 어려운 경사지), 지형(支形, 아군이나 적군이 진출해도 불리한

제 88회 성경대강좌를 마친 후

   지난 8월 7일(월)부터 10일(목)까지 제 88회 성경대강좌가 열렸고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잘 마쳤습니다. 성도들의 기도와 참가하신 분들의 수고와 헌신 덕분에 무사히

대 화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플라톤과 함께 동문수학 한 것으로 전해진 크세노폰(Xenophon, B.C. 431~350 경)이 있습니다. 그는 철학자이자 역사가이기도 했는데, 특히 군인으로서 여러 전쟁에 참여하기도

철학(哲學)을 넘어

오래 전 대학교를 다닐 때 의미 있게 읽었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이 있습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는 흔히 철인황제(哲人皇帝)로 불리웁니다. 「명상록」은 그가 전쟁터에서 자기 생각을